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여 데이터를 조회, 추가, 수정, 삭제를 할 수 있는 절차형 언어다. 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금융권, 모바일, 병원, 대학교 등 사용 분야도 넓다.
Client/Server Tier
티어의 변화는 대략적으로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단계(Mainframe, Terminal)
메인프레임과 터미널로 이루어져 있는 유형이 1단계다.
특징은 해당 기업의 메인프레임 위주로 호환이 되기 때문에 폐쇄적이며 터미널 만으로는 딱히 할 수 있는게 제한적이다.
2단계(Unix, PC)
OS가 Unix로 바뀌면서 개방적으로 변하고 터미널이 PC로 교체되면서 성능도 올라가 여러가지 다른 작업들도 가능해졌다.
3단계(Webserver, Middlewar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요청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인 미들웨어가 추가되었다. 사용자가 서비스에 요청을 하면 웹서버가 요청을 받아 미들웨어로 사용자 요청을 전달한다. 미들웨어는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요청에 따른 SQL문을 실행한다.
인터페이스의 복잡도가 올라가면서 트러블슈팅도 어려워지는 데 이를 관리하기 위해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를 사용한다.
DB모델
DB모델은 윈도우 탐색기와 같은 구성의 계층형DB, N:M 구성의 네트워크형DB, 그리고 앞으로 자주 접할 관계형DB로 3가지가 있다. 거의 대부분은 관계형DB로 구축되어 있다.